맨위로가기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은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위치했던 돔구장으로, 미네소타 트윈스와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다. 1979년에 건설되어 2014년에 해체되었으며, 미네소타의 혹독한 기후와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의 노후화에 대한 대안으로 건설되었다. 미식축구와 야구 겸용 경기장으로 설계되었으며, 지붕은 공기압으로 유지되는 테플론 가공 유리 섬유로 만들어졌다. 2009년 트윈스가 타겟 필드로 이전하고, 2013년 바이킹스가 US 뱅크 스타디움으로 이전하면서 해체되었으며, 2010년 지붕 붕괴 및 교체, 1980년대 지붕 문제 등 여러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 타깃 센터
    타깃 센터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와 미네소타 링크스의 홈 경기장이자 다양한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행사를 개최하는 곳이며, 녹색 지붕 설치 및 지속적인 개보수를 통해 시설을 개선해왔다.
  • 미네소타주의 야구장 -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은 1956년부터 1981년까지 미네소타주 블루밍턴에 위치했던 다목적 경기장으로, 미니애폴리스 밀러스, 미네소타 트윈스,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월드 시리즈, NFL 챔피언십 게임 등 주요 경기와 이벤트가 개최되었고 현재는 몰 오브 아메리카가 들어서 있다.
  • 미네소타주의 야구장 - 타깃 필드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위치한 타겟 필드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미네소타 트윈스의 홈구장으로, 천연 잔디 구장이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뛰어나 야구 경기 외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되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 미네소타 바이킹스 -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은 1956년부터 1981년까지 미네소타주 블루밍턴에 위치했던 다목적 경기장으로, 미니애폴리스 밀러스, 미네소타 트윈스,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월드 시리즈, NFL 챔피언십 게임 등 주요 경기와 이벤트가 개최되었고 현재는 몰 오브 아메리카가 들어서 있다.
  • 미네소타 바이킹스 - U.S. 뱅크 스타디움
    미니애폴리스에 위치한 U.S. 뱅크 스타디움은 2016년 개장하여 미네소타 바이킹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슈퍼볼 LII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고, 노르딕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반투명 지붕, 높은 반사율 외장 유리로 인한 조류 충돌 문제가 특징이다.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경기장 정보
1982년 4월 3일 개장한 미국의 다목적 돔구장
2007년 5월의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
별칭The Thunderdome (썬더돔)
The Homerdome (호머돔)
주소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사우스 5번가 900
좌표44°58′26″N 93°15′29″W
기공일1979년 12월 20일
개장일1982년 4월 3일
폐장일2013년 12월 29일
철거 시작일2014년 1월 18일
철거 완료일2014년 4월 17일
소유주메트로폴리탄 스포츠 시설 위원회 (1982년~2012년)
미네소타 스포츠 시설 당국 (2012년~2013년)
운영자메트로폴리탄 스포츠 시설 위원회 (1982년~2012년)
미네소타 스포츠 시설 당국 (2012년~2013년)
표면SuperTurf (1982년~1986년)
AstroTurf (1987년~2003년)
FieldTurf (2004년~2010년)
Sportexe Momentum Turf (2010년)
UBU-Intensity Series-S5-M Synthetic Turf (2011년~2013년)
건설 비용5,500만 미국 달러
건축가파즐루르 라만 칸 (스키드모어, 오윙스 & 메릴)
Setter, Leach & Lindstrom, Inc.
구조 엔지니어Geiger Berger Associates (가이거 버거 어소시에이츠)
일반 계약자Barton-Malow (바턴-말로)
수용 인원미식축구: 64,121명
야구: 46,564명 (확장 가능: 55,883명)
농구: 50,000명
콘서트: 60,000명
구장 크기 (야구)
좌익수343 ft (약 104.5 m)
좌중간385 ft (약 117.3 m)
중앙408 ft (약 124.4 m)
우중간367 ft (약 111.9 m)
우익수327 ft (약 99.7 m)
백스톱60 ft (약 18.3 m)
돔 정점186 ft (약 56.7 m)
담장 높이좌익 및 중앙: 7 ft (약 2.1 m)
우익: 23 ft (약 7.0 m)
사용 팀
스포츠미네소타 바이킹스 (NFL; 1982년~2013년)
미네소타 트윈스 (MLB; 1982년~2009년)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 풋볼 (NCAA; 1982년~2008년)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 (NASL; 1984년)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 야구 (NCAA; 1985년~2010년, 2012년~2013년)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NBA; 1989년~1990년)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NASL; 2013년)

2. 역사

미네소타 트윈스미네소타 바이킹스가 사용하던 기존 홈구장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의 노후화 문제와 미네소타 지역 특유의 추운 겨울 날씨로 인한 관중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경기장 이름은 사우스다코타 주 출신으로 미국 부통령과 미니애폴리스 시장을 지낸 휴버트 H. 험프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15]

메트로돔은 미식축구와 야구 경기를 모두 치를 수 있는 다목적 경기장이었지만, 일반적인 겸용 구장과는 다른 독특한 구조를 가졌다. 보통 사이드라인과 센터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과 달리, 메트로돔은 사이드라인과 3루 파울 라인을 평행하게 만들었다. 관중석은 미식축구 경기에 맞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야구 경기 시에는 우익수 쪽 좌석 일부를 접어서 사용했다. 이 때문에 우익수 쪽 관중석은 다른 좌석보다 상당히 높은 곳에 위치했고, 경기장 필드 역시 우익수 쪽이 좌익수 쪽보다 약간 좁았다. 이러한 비대칭 구조를 보완하기 위해 우익수 쪽 펜스는 7m 높이로 설치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경기장 시설이 노후화되자, MLB미네소타 트윈스는 200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메트로돔 사용을 중단하고, 2010년부터 새로운 홈구장인 타겟 필드로 이전했다. NFL미네소타 바이킹스 역시 2013년 시즌까지 메트로돔을 사용한 뒤,[116] 2014년 1월 메트로돔은 철거되었다. 철거된 자리에는 바이킹스의 새로운 홈구장인 US 뱅크 스타디움이 건설되어 2016년 7월 22일에 개장했다.[117]

2. 1. 배경

메트로돔 입구


1970년대 초, 미네소타 바이킹스는 당시 홈구장이던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일명 "더 메트")의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에 불만을 품었다. AFL–NFL 합병 이후 NFL은 50,000명 미만을 수용하는 경기장을 부적합하다고 규정했는데, 더 메트의 최대 수용 인원은 약 49,700명이었고 확장이 어려웠다. 당시 지역에서 가장 큰 경기장은 미네소타 대학교의 메모리얼 스타디움이었으나, 바이킹스는 대학 경기장을 임시로 사용하는 것을 원치 않아 새 구장 건설을 요구했다.

돔구장 건설 지지자들은 미네소타 트윈스 역시 미네소타의 혹독한 날씨로부터 보호받으며 경기를 치를 수 있는 실내 구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자체도 노후화가 심각하여 교체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1970년대에는 상단 관람석의 난간과 좌석이 파손된 상태였고, 마지막 시즌에는 안전 문제까지 제기될 정도였다.

디트로이트 인근의 폰티악 실버돔과 같은 다른 돔구장들의 성공적인 건설 사례는 미네소타에서도 새로운 경기장 건설 자금 지원에 대한 여론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미니애폴리스 시내에서는 도심 재활성화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었고, 교외 지역인 블루밍턴에 있던 프로 스포츠팀을 다시 시내로 유치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여겨졌다. 1960년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가 로스앤젤레스로 연고지를 이전한 이후, 미니애폴리스 시내에는 프로팀이 없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메트로돔 건설이 추진되었으며, 구장의 명칭은 사우스다코타 주 출신으로 전 부통령이자 미니애폴리스 시장을 역임했던 휴버트 H. 험프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15]

2. 2. 건설

미네소타 트윈스미네소타 바이킹스의 기존 홈구장이었던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은 시설 노후화 문제와 더불어, 미네소타주의 추운 겨울 날씨로 인해 관중 동원에 어려움을 겪었다.[11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돔구장 건설이 추진되었다. 경기장 건설을 위한 10년간의 노력은 현재 미국 상원 의원인 에이미 클로부처의 저서 ''Uncovering the Dome''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19]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의 건설은 1979년 12월 20일에 시작되었다. 건설 자금은 제한적인 호텔-모텔 및 주류세, 지역 사업체의 기부, 그리고 경기장 부지 인근의 특별 과세 구역에서 걷힌 세금으로 충당되었다.[18] 경기장의 이름은 1978년에 사망한 전 미니애폴리스 시장, 미국 상원 의원, 그리고 미국 부통령을 역임한 휴버트 험프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20][115]

건물 설계는 방글라데시미국인 건축가 파즐루르 라만 칸이 주도했으며, 건축 회사 스키드모어, 오윙스 & 메릴이 참여했다.[21] 메트로돔 자체 건설 비용은 6800만달러으로, 당초 예산보다 상당히 적은 금액이었다. 인프라 및 기타 부대 비용을 포함한 총 건설 비용은 1.24억달러에 달했다.[3] 완공된 메트로돔은 화려함보다는 실용성에 중점을 둔 시설이었으며, 한 경기장 관계자는 "팬들을 입장시키고, 경기를 보게 하고, 집으로 돌려보내는"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하게 설계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2]

미식축구와 야구 경기를 모두 개최할 수 있는 다목적 구장으로 설계되었지만, 일반적인 겸용 구장과 달리 사이드라인과 3루 파울 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했다. 스탠드는 미식축구를 우선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야구 경기 시에는 우익수 쪽 좌석 일부를 접어서 공간을 확보했다. 이 때문에 우익수 쪽 스탠드는 다른 좌석보다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자리 잡게 되었고, 그라운드 역시 우익수 쪽이 좌익수 쪽보다 약간 좁은 형태가 되었다. 이러한 구조적 비대칭을 보완하기 위해 우익수 쪽 펜스는 7m 높이로 설치되었다.

2. 3. 1980년대 지붕 문제

메트로돔의 지붕은 테플론으로 가공된 유리 섬유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무게는 340톤에 달했다. 이 지붕은 공기압을 이용해 부풀려 지탱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다른 건설 방식에 비해 공사 기간과 비용을 약 3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다.

하지만 경기장 역사상 총 다섯 차례의 기상 관련 지붕 손상 사고가 있었으며, 이 중 네 번은 지붕이 붕괴되는 심각한 사고였다. 특히 네 번의 붕괴 사고는 모두 경기장 개장 후 5년 이내인 1980년대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날짜원인결과비고
1981년 11월 19일30cm 이상의 급격한 폭설지붕 붕괴 및 재팽창 필요
1982년 12월 30일제설 작업 중 크레인에 의한 파손지붕 붕괴미네소타 바이킹스댈러스 카우보이스의 NFL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 4일 전 발생
1983년 4월 14일늦은 봄 폭설로 인한 찢어짐지붕 붕괴미네소타 트윈스캘리포니아 에인절스MLB 경기 연기
1986년 4월 26일강풍지붕 일부 찢어짐붕괴는 없었으나, 에인절스와의 경기 중 7회말 9분간 중단



이처럼 1980년대에 여러 차례 지붕 관련 문제가 발생하며 경기장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

2. 4. 2010년 지붕 붕괴 및 교체

2010년 12월 11일 폭설과 강풍으로 인해 찢어지고 수축된 지 하루 뒤의 돔 지붕


2010년 12월 10일 늦은 저녁, 미니애폴리스에 심한 눈보라가 몰아쳤다. 눈보라는 다음 날인 12월 11일까지 계속되었고, 도시 전체에 약 43.18cm의 눈이 쌓였다.[25][26] 강풍, 호스 고장, 지붕 위의 미끄러운 눈층 때문에 작업자들은 지붕 제설 작업을 할 수 없었다. 작업자들이 철수한 후, 많은 사람들은 지붕 중앙이 눈의 무게로 처지는 것을 목격했다.[54]

12월 12일 오전 5시경(CST), 지붕 패널 세 개가 찢어졌다.[26] 찢어진 틈으로 눈이 쏟아져 내려 인조 잔디 경기장을 뒤덮었다. 사고 전날 밤, 뉴욕 자이언츠와 바이킹스미식축구 경기를 준비하던 폭스 스포츠 중계진은 지붕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발견하고 카메라를 계속 켜두었다. 이 카메라들은 지붕 붕괴 순간과 눈이 경기장 안으로 쏟아지는 장면을 포착했다.[54] 이 영상은 ''폭스 NFL 선데이''를 통해 방송되었고 빠르게 퍼져나갔다.

12월 12일 오후에 열릴 예정이었던 바이킹스와 자이언츠의 경기는 다음 날로 연기되었고, 장소는 디트로이트포드 필드로 변경되었다.[26][27] 인근 미네소타 대학교의 TCF 뱅크 스타디움으로 경기를 옮기는 방안도 고려되었으나, 좌석 수용 인원이 제한적이고 경기장 제설 작업에 며칠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 무산되었다.[54] 며칠 후 네 번째 패널이 찢어지면서 더 많은 눈이 경기장 안으로 들어왔다.[28] 이로 인해 12월 20일 메트로돔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바이킹스와 시카고 베어스의 경기도 TCF 뱅크 스타디움으로 옮겨 치러졌다.[29] 해당 시즌 바이킹스의 남은 두 경기는 원정 경기였고, 팀은 이미 NFL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된 상태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홈 경기 일정 변경은 없었다.

지붕 붕괴는 골든 고퍼스 야구팀의 일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모든 빅 텐 콘퍼런스 홈 경기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미네소타 트윈스의 홈 구장인 타겟 필드로 옮겨졌다. 메트로돔 토너먼트는 곤자가 대학교와의 3연전으로 대체되었고, 데어리 퀸 클래식 토너먼트는 애리조나주 투손으로 장소를 옮겨 열렸다. 그 외 다수의 홈 경기가 취소되었으며, 일부는 다음 시즌으로 연기되었다.[30]

2011년 8월 초의 새로운 지붕


2011년 2월 10일, 메트로돔 지붕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예상 비용은 1800만달러라는 발표가 있었다.[31][32][33][34] 2010년 11월, 미네소타 대학교 남자 야구팀은 2011년 모든 경기를 메트로돔에서 치를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나, 지붕 붕괴로 인해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2011년 2월 18일, 골든 고퍼스 측은 4월과 5월에 예정된 12번의 빅 텐 홈 경기를 타겟 필드에서, 3번의 비 콘퍼런스 경기를 캠퍼스 내 지버트 필드에서 치르겠다고 발표했다.[30]

2011년 7월 13일, 지붕 수리가 완료되어 당일 오전에 공기 주입이 시작되었다고 발표되었다. 하지만 다른 건설 및 수리 작업은 계속 진행 중이었다. 나머지 모든 건설 및 수리 작업은 2011년 8월 1일까지 완료되었다.[35]

2. 5. 철거

지붕이 내려간 메트로돔, 2014년 2월 3일


미네소타 주의회에서 메트로돔 부지에 새로운 바이킹스 경기장 건설을 승인하면서 메트로돔의 철거가 결정되었다. 바이킹스는 2013년 12월 29일 메트로돔에서 마지막 경기를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디트로이트 라이온스를 14-13으로 이겼다.[36] 다음 날인 12월 30일부터 지역 회사가 경기장 좌석 제거 작업을 시작했다. 제거된 좌석은 일반 대중과 다양한 자선 단체 및 비영리 단체에 판매되었는데, 개별 의자는 자선 단체에 각각 40USD, 일반 대중에게는 각각 60USD, 특정 좌석 요청 시에는 각각 80USD에 판매되었다.[37]

2014년 1월 18일, 경기장의 상징이었던 공기 부양식 지붕(air-supported roof)이 마지막으로 내려앉았다.[38][39] 2월 2일 아침에는 지붕을 지지하던 강철 케이블을 제거하기 위해 건설 팀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케이블을 분리하는 42개의 폭약을 동시에 터뜨렸다. 이 작업은 사전에 일반 대중에게 공지되지 않아, 폭발음에 놀란 시민들의 문의 전화가 경찰에 걸려오기도 했다. 이는 메트로돔의 콘크리트 구조물 본체 철거 전 마지막 준비 단계였다.[40][41] 이후 2개월 이상의 예비 작업을 거쳐, 2014년 2월 10일 오전 9시 15분경 경기장 벽 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메트로돔 철거, 2014년 2월 26일, 벽의 절반 정도가 철거됨. 북쪽과 서쪽 스탠드


그러나 2014년 2월 17일 오후 1시경, 경기장 상단을 둘러싼 콘크리트 링 빔(ring beam) 제거 작업 중 일부가 예상치 못하게 무너져 내리면서 작업이 즉시 중단되었다. 다행히 인명 피해나 장비 손상은 없었다.[42] 구조 및 철거 전문가들이 5일간 조사를 진행한 결과, 남은 링 빔 구조를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통제된 폭발 방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당초 폭발물을 사용하지 않으려던 계획에서 변경된 것이지만,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43] 2014년 2월 23일, 84개의 다이너마이트 폭약을 이용하여 메트로돔의 나머지 링 빔과 모서리 부분이 성공적으로 해체되었다. 이후 철거팀은 기존에 계획했던 래킹 볼(wrecking ball)을 이용한 철거 방식을 재개하여 메트로돔의 남은 부분을 철거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차질에도 불구하고, 건설사인 모텐슨 건설(Mortenson Construction)은 메트로돔 철거와 새로운 U.S. 뱅크 스타디움(U.S. Bank Stadium) 건설 모두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44]

2014년 3월 15일에는 마지막 상단 데크 스탠드와 콘크리트 지지 거더(북서쪽)가 철거되었고, 경기장 외벽의 남은 부분도 제거되었다. 2014년 4월 11일, 경기장 내부 콘크리트 벽의 마지막 부분이 무너지면서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메트로돔 철거는 예정보다 한 달 빠른 4월 17일에 공식적으로 완료되었으며, 마지막 트럭 분량의 잔해가 현장에서 반출되었다. 모텐슨 건설에 따르면 전체 철거 작업에는 총 4,910 트럭 분량의 잔해가 발생했고, 16,000 인시(man-hours)가 소요되었다.[2]

메트로돔은 노후화로 인해 MLB 팀인 미네소타 트윈스가 200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사용을 중단하고 2010년부터 새로운 홈구장인 타겟 필드로 이전했으며, NFL 팀인 미네소타 바이킹스는 2013 시즌까지 사용했다.[116] 철거된 메트로돔 부지에는 바이킹스의 새로운 홈구장인 U.S. 뱅크 스타디움이 건설되어 2016년 7월 22일에 개장했다.[117]

3. 특징

메트로돔은 미네소타주에서 가장 관중 동원력이 높은 세 개의 스포츠 팀을 유치하기 위한 기후 조절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경기장이 운영되는 동안 스포츠 마케팅 환경이 변화하면서, 팀들은 더 큰 클럽하우스, 고급 스위트룸, 매점 수입 증대 등 더 많은 편의 시설을 요구하며 새로운 시설 건립 압력을 가하기도 했다.

메이저 리그 야구 경기 시 메트로돔은 타자 친화적인 구장으로 여겨졌다. 좌익수 펜스는 낮고(약 2.13m) 멀리(약 104.55m) 있어 우타 파워 히터에게 유리했고, 우익수 펜스('배기', Baggie)는 높지만(약 7.01m) 더 가까워(약 99.67m) 좌타 파워 히터에게 유리했다.[49] 1983년 에어컨이 설치되기 전에는 더 많은 홈런이 나왔으며, 이 때문에 '스웨트 박스'(Sweat Boxeng)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50] 기후 조절 덕분에 미네소타 트윈스의 야구 경기 일정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더블헤더 경기는 의도적으로 일정을 잡을 때만 발생했는데, 2007년 미니애폴리스 시내의 I-35W 다리 붕괴 사고 이후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가 연기되면서 주야간 더블헤더를 편성한 것이 마지막 사례였다.

3. 1. 다목적 활용

메트로돔은 198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1992년 슈퍼볼, NCAA 파이널 포 (1992년 & 2001년), 그리고 월드 시리즈 (1987년 & 1991년)를 모두 개최한 유일한 경기장이었다.

NCAA 파이널 포는 1992년과 2001년에 메트로돔에서 개최되었다. 메트로돔은 또한 1986년, 1989년, 1996년, 2000년, 2003년, 2006년, 2009년의 NCAA 디비전 I 농구 선수권 대회의 4개 지역 경기장 중 하나였다. 이 돔은 2009년 NCAA 디비전 I 남자 농구 토너먼트에서 가장 최근에 열린 지역 경기와 파이널 포 외에도 NCAA 농구 토너먼트의 1, 2라운드 경기를 개최했다.

메트로돔은 천으로 된 돔 지붕으로 인해 경기장 전체에 소리가 순환되어 경기를 관람하기에 가장 시끄러운 경기장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경기장의 소음은 홈팀에게 원정팀에 대한 홈 경기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포츠 마케팅 문제이다. 메트로돔은 철거될 때까지 가장 시끄러운 돔형 NFL 경기장이었다. 특히 1987년 월드 시리즈1991년 월드 시리즈 동안 최고 데시벨은 각각 125와 118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제트 여객기에 가깝고 고통 역치에 근접했다.[45][78]

1991년 월드 시리즈는 역대 최고의 월드 시리즈 중 하나로 꼽힌다.[46][47] 커비 퍼켓의 1991년 월드 시리즈 6차전 끝내기 홈런이 떨어진 섹션 101, 5열, 27번 좌석(커비의 유니폼 번호를 기리기 위해 홈런 후 34번으로 재번호 매김)의 파란색 좌석 등받이와 좌석 바닥은 현재 트윈스 기록 보관소에 있으며, 몇 년 동안 그 자리를 대체했던 금색 등받이와 좌석 바닥과 함께 보관되어 있다. 트윈스는 파란색 좌석 등받이와 좌석 바닥을 다시 설치했으며, 2013년 메트로돔에서 열린 마지막 바이킹스 경기까지 이 좌석에 커비 퍼켓의 #34번을 유지했다. 지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 팬이 좌석에서 #34번 판을 떼어갔다.[48] 오리지널 월드 시리즈 팔걸이와 하드웨어, 그리고 교체된 파란색 좌석 등받이와 좌석 바닥은 현재 미네소타에 있는 커비 퍼켓 개인 소장품의 일부이다.

메트로돔과의 계약의 일환으로, 미네소타 트윈스는 경기 일정에서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보다 우선권을 가졌다. 만약 트윈스가 홈 시리즈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면, 야구 경기가 우선시되었고, 골퍼스 미식축구 경기는 경기장 관리 팀이 경기장과 관중석을 미식축구 구성을 위해 전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으로 옮겨야 했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정규 시즌 마지막 달에는 트윈스와 골퍼스가 같은 날 메트로돔을 사용하는 토요일이 한두 번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경우 트윈스 경기는 현지 시간 오전 11시쯤 시작되었다(TV 아나운서 딕 브레머는 때때로 방송이 ''네모바지 스폰지밥''과 경쟁하고 있다고 농담했다). 그 후 전환이 이루어졌고 골퍼스 미식축구 경기는 오후 6시쯤 시작되었다. 미네소타 대학교는 오랜 기간 동안 프로 스포츠 팀과 미식축구 시설을 공유한 빅 텐 컨퍼런스의 유일한 학교였다.

2007년에는 9월 1일과 22일에 두 번의 경기 일정 충돌이 있었다. 2008년에는 정규 시즌 일정에 충돌이 없었다.

경기장 전환에 필요한 최소 시간 때문에, 경기 시간이 길어진 야구 경기는 중단되어 다음 날 재개되어야 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유일한 경우는 2004년 10월 2일로, 트윈스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간의 경기가 11회 말에 동점으로 오후 2시 30분 이후에 종료되어 다음 날 재개되었다.

바이킹스는 월드 시리즈 경기를 제외하고는 트윈스보다 돔을 사용할 권리를 가졌다. 1987년, 1987년 월드 시리즈 2차전과 같은 날로 예정된 바이킹스의 탬파베이 버커니어스와의 홈 경기는 탬파로 옮겨졌고, 7차전과 같은 날로 예정된 바이킹스의 덴버 브롱코스와의 경기는 다음 월요일 밤으로 연기되었다.

트윈스의 2009년 아메리카 리그 중부 지구 단판 플레이오프는 2009년 10월 6일 화요일에 열렸다. 단판 플레이오프는 일반적으로 정규 시즌이 끝난 다음 날에 열리지만(이 경우 시즌은 10월 4일 일요일에 끝났음), 바이킹스는 10월 5일에 ''먼데이 나이트 풋볼''을 위해 메트로돔을 사용하고 있었다. 트윈스는 디트로이트와의 시즌 시리즈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타이브레이커를 주최할 권리를 얻었다.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을 때, 근처 관람석의 팬들은 코트를 잘 볼 수 있었지만, 상층부에서는 경기를 보기 어려웠다. 매점은 임시 시설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었다. 메트로돔은 농구 경기장으로서 대부분의 NBA 및 주요 대학 농구 경기장(약 20,000석 규모)보다 훨씬 컸으며, 시라큐스 대학교의 대형 캐리어 돔과 같은 기능을 했다. 그러나 NCAA는 남자 농구 토너먼트의 지역 및 챔피언십 경기를 위해 많은 좌석을 판매하여 상당한 돈을 벌었다.

2009년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를 위해 설치된 메트로돔; 임시 관람석은 농구 코트를 양쪽에 둘러싸고, 다른 두 면에는 영구 관람석이 있다.


경기장에서는 총 10번의 NCAA 토너먼트가 열렸다:

  • 1986년 1, 2라운드
  • 1989년 미드웨스트 지역
  • 1991년 1, 2라운드
  • 1992년 파이널 포
  • 1996년 미드웨스트 지역
  • 2000년 1, 2라운드
  • 2001년 파이널 포
  • 2003년 미드웨스트 지역
  • 2006년 미니애폴리스 지역
  • 2009년 1, 2라운드


팀버울브스는 타겟 센터의 건설이 완료될 때까지 NBA의 창단 시즌(1989–90) 동안 홈 경기를 위해 이 경기장을 사용했다. 팀은 한 시즌 최고 관중 기록(홈 41경기에서 1,072,572명)을 세웠다. 단일 경기 최다 관중은 1990년 4월 17일에 발생했는데, 49,551명의 팬들이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덴버 너기츠에게 패하는 팀버울브스의 경기를 관람했다. 이는 NBA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관중이었다.

1982년 대학 풋볼 시즌부터 미네소타 대학교 골든 고퍼스는 메트로돔에서 홈 풋볼 경기를 시작했다. 첫 경기는 1982년 9월 11일 오하이오 밥캣츠를 상대로 57-3으로 승리했다.[90] 골든 고퍼스의 메트로돔 풋볼 기록은 1982년부터 2008년까지(27시즌) 총 169경기에서 87승 80패 2무, 승률 0.521%였다. 빅 텐 컨퍼런스 경기는 109경기에서 41승 66패 2무, 승률 0.385%였다.

골든 고퍼스가 TCF 뱅크 스타디움으로 이전하면서 돔 경기장에서 경기를 하는 파워 4 프로그램은 시라큐스가 유일하게 되었다. 시라큐스는 캠퍼스에 캐리어 돔이라는 시설을 가지고 있다. 골든 고퍼스가 처음 메트로돔으로 이전했을 때, NFL급 시설은 노후화된 메모리얼 스타디움보다 개선된 것으로 여겨졌다. 처음에는 관중이 늘었다.[91] 그러나 팬들은 캠퍼스에서 야외 경기를 하던 가을날에 대한 향수를 느꼈다.[92] 현재 헌팅턴 뱅크 스타디움은 팀을 위한 야외 캠퍼스 경기장을 제공한다.

2008년 메트로돔,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와 미시간 울버린스 간의 리틀 브라운 저그 라이벌 경기인 제91차전을 앞두고


2010 시즌에 미네소타 대학교 골든 고퍼 야구팀은 모든 홈 경기를 메트로돔에서 치렀다(2010년 3월 27일 새 타겟 필드에서 열린 경기를 제외하고).[93] 미네소타 대학교 골든 고퍼 야구팀은 1985년부터 날씨 때문에 2월과 3월 동안 메트로돔에서 경기를 치렀다. 이후 경기는 시버트 필드에서 열렸지만, 2006년에는 홈 경기 중 단 두 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가 메트로돔에서 열렸다. 이 팀은 종종 다이리 퀸 클래식(Dairy Queen Classic)을 포함한 주요 토너먼트를 돔에서 치렀으며, 여기에는 초청 형식으로 다른 세 개의 주요 디비전 I 야구팀이 참가했다. 대학 야구 시즌 시작에 관한 NCAA의 2008년 디비전 I 규칙 이전에는 골든 고퍼는 더 따뜻한 날씨의 학교들이 일찍 시즌을 시작하는 이점을 상쇄하기 위해 종종 다른 지역 팀보다 일찍 메트로돔에서 홈 경기를 치르곤 했다. 일부 초기 빅 텐 컨퍼런스 경기가 메트로돔에서 열렸으며, 골든 고퍼는 날씨가 따뜻해지기 전 시즌 초반에 홈 필드 이점을 누렸고, 고퍼는 캠퍼스에서 경기를 할 수 있었다. 다른 소규모 대학들도 메트로돔이 디비전 I 경기를 위해 개방되기 전 몇 주 동안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다. 2010년에는 골든 고퍼의 홈 경기 대부분을 포함하여 420개의 아마추어 야구 및 소프트볼 경기가 메트로돔에서 열렸다.[94]

시버트 필드의 크기 또한 2010년부터 골든 고퍼에 영향을 미쳤다. 골든 고퍼는 2000년에 임시 좌석을 추가하여 마지막 NCAA 야구 토너먼트 지역 대회를 개최했다. 2010년부터 토너먼트에 메트로돔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팀은 NCAA 야구 지역 또는 슈퍼 지역 대회를 유치하기 위한 입찰을 쉽게 할 수 있었고, 유치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다른 추운 날씨의 팀들도 메트로돔에서 경기를 치렀다. 빅 12 컨퍼런스 멤버인 캔자스(Kansas)는 악천후로 인해 사우스다코타 주립 대학교와 이스턴 미시간을 상대로 각각 2007년과 2010년에 메트로돔에서 두 번의 시리즈를 치렀다.[95]

미네소타 킥스는 1982년 NASL 시즌을 위해 메트로돔으로 이전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프랜차이즈는 1981년 11월에 해산되었다.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는 돔에서 1984년 NASL 시즌 경기를 치렀다. 52,621명의 관중이 1984년 5월 28일에 열린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와 탬파베이의 경기에서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가 1-0으로 승리하는 경기를 관람했다. MSHSL 남자 및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도 이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미네소타 선더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돔에서 일부 경기를 치렀다. 나중에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로 개명된 미네소타 스타스 FC는 2012년 시즌을 이 경기장에서 시작했으며, 2013년 NASL 봄 시즌에도 이 경기장을 사용했다. 메트로돔의 축구 경기장 크기는 약 100.58m x 약 64.01m였다. 미네소타에서 축구 경기를 관람한 최대 관중 수는 메트로돔에서 기록되었다.

메트로돔의 콘서트 수용 인원은 좌석 및 무대 구성에 따라 약 60,000명이었으며, 이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에 스타디움 투어에 수익성 있는 장소로 만들었다. 이에 비해, 미니애폴리스의 타겟 센터는 최대 20,500명의 콘서트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콘서트에서 메트로돔의 음향은 "기껏해야 괜찮은" 수준이었다.[96]

날짜아티스트오프닝 공연투어 이름수익비고
1984년 5월 28일비치 보이스[97]
1986년 6월 26일그레이트풀 데드
밥 딜런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18.5만달러[96]
1988년 5월 24일핑크 플로이드A Momentary Lapse of Reason Tour93.87만달러[96]
1988년 7월 13일반 헤일런
스콜피언스
메탈리카
도켄
킹덤 컴
Monsters of Rock Tour 1988[96]
1989년 11월 29일롤링 스톤스리빙 컬러Steel Wheels Tour297만달러[96]
1989년 11월 30일롤링 스톤스리빙 컬러Steel Wheels Tour(상동)[96]
1992년 6월 10일제네시스We Can't Dance Tour[96]
1992년 9월 15일건즈 앤 로지스
메탈리카
페이스 노 모어Guns N' Roses/Metallica Stadium Tour119만달러[96]
1993년 5월 23일폴 매카트니The New World Tour118만달러[96]
1994년 6월 22일핑크 플로이드Division Bell Tour[96]
1994년 12월 11일롤링 스톤스스핀 닥터스Voodoo Lounge Tour217만달러[96]
1997년 6월 22일블랙 사바스, 오지 오스본, 마릴린 맨슨, 판테라Ozzfest[96]
1997년 10월 29일U2스매시 마우스PopMart Tour147만달러[96]
1997년 11월 25일롤링 스톤스써드 아이 블라인드Bridges to Babylon Tour267만달러[96]
1998년 5월 17일조지 스트레이트팀 맥그로George Strait Country Music Festival
2001년 6월 24일엔싱크PopOdyssey
2003년 7월 27일메탈리카림프 비즈킷, 린킨 파크, 데프톤스, 머드베인Summer Sanitarium Tour


기타 행사


  • 2002년과 2008년 빅토리 볼 경기, NCCAA 전국 미식축구 선수권 대회.
  • 프렙 볼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리그(MSHSL); 주 고등학교 미식축구 선수권 대회) (1982–2013).
  • MSHSL 미식축구 준결승전 (1990–2013)
  • MSHSL 축구 선수권 대회 및 준결승전 (1986–2013).
  • 봄 동안의 고등학교 및 소규모 대학 야구 경기.
  • 오그스부르크 대학교에서 주최하는 11월 소규모 대학 미식축구 경기. 또한 노던 선 인터컬리지에이트 컨퍼런스 및 어퍼 미드웨스트 육상 컨퍼런스를 포함한 기타 소규모 대학 미식축구 행사.
  • AMA 모토크로스 챔피언십 (1994–2004, 2008, 2013)
  • 스타디움 슈퍼 트럭 오프로드 레이싱 시리즈는 2013년에 이벤트를 계획했다.
  • 기타 모터스포츠 행사.
  • 대규모 종교 행사 및 모임.
  • 아메리카 레슬링 협회는 1986년 4월 20일에 레슬록 86을 홍보하여 23,000명을 모았다. 이는 AWA가 몇 년 후 폐업하기 전 마지막 주요 쇼 중 하나였다.
  • 경기장 통로 주변의 '''롤러돔''' 인라인 스케이팅 및 미네소타 거리 달리기 협회 달리기 (통로에서 운동

3. 2. 지붕

메트로돔의 공기 지지식 지붕은 공기 지지 구조의 발명가인 데이비드 H. 가이거(David H. Geiger)가 뉴욕에 본사를 둔 Geiger Berger Associates를 통해 설계했으며, Birdair Structures에서 제조 및 설치했다.[51] 이 방식은 다른 지붕 건설 방식에 비해 공사 기간과 비용을 약 3분의 1로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지붕은 양압에 의해 지지되었으며, 팽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분당 120m3 (약 7079211.65L3)의 공기가 필요했다. 공기압은 각각 90마력의 팬 20개에 의해 공급되었다.[52]

지붕은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었다. 바깥층은 테플론 코팅된 유리 섬유였고, 안쪽은 특허받은 음향 직물이었다. 이중 구조는 층 사이의 데드 에어 공간을 통해 지붕을 단열시켰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공기를 이 공간으로 불어넣어 지붕 위에 쌓인 눈을 녹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건설 당시, 10acre 면적의 직물 지붕은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가장 큰 구조물이었다.[53] 바깥쪽 테플론 막의 두께는 1/32 인치였고, 안쪽 직조 유리 섬유의 두께는 1/64 인치였다.[54] 지붕 전체의 무게는 약 약 263083.36kg였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약 59.44m로, 약 16층 건물 높이에 해당했다.[55]

차압 유지를 위해 관람객들은 주로 회전문을 통해 출입했다. 일반 문을 사용하면 상당한 공기압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장 하부의 환경 제어 센터에서는 날씨를 모니터링하고 공기 분배를 조절하여 지붕 상태를 유지했다.

초창기부터 지붕 파열 문제가 발생했다. 1981년 11월 19일1982년 12월 30일에는 많은 눈이 쌓여 지붕이 손상되고 찌그러졌으나, 당시에는 시즌 오프 기간이었다. 하지만 1983년 4월 14일에도 같은 사고가 발생하여 예정되었던 야구 경기가 중단되었다. 또한 1986년 4월 26일에는 강풍으로 지붕이 손상되어 경기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Metropolitan Sports Facilities Commission은 눈이 예상될 때 지붕 층 사이로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고, 작업자들이 지붕에 올라가 증기 및 고압 온수 호스로 눈을 녹이는 이중 전략을 사용했다.[56]

그러나 2010년 12월 12일, 심각한 지붕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12월 10일 늦은 저녁부터 미니애폴리스에 몰아닥친 심한 눈보라는 다음 날까지 이어져 도시에 약 43.18cm의 눈이 쌓였다.[25][26] 강풍과 장비 문제, 미끄러운 지붕 표면 때문에 제설 작업이 불가능했고, 작업자들은 철수했다.[54] 경기장 내부 온도를 약 26.7°C 가까이 높였음에도 불구하고[54], 12월 12일 오전 5시경 눈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지붕 패널 세 개가 찢어지면서 눈이 인조 잔디 구장으로 쏟아져 내렸다.[26] 당시 미네소타 바이킹스뉴욕 자이언츠의 NFL 경기를 준비하던 폭스 스포츠(Fox Sports) 중계진이 설치해 둔 카메라가 이 붕괴 장면을 포착했고, 이 영상은 ''폭스 NFL 선데이(Fox NFL Sunday)''를 통해 방송되어 빠르게 퍼져나갔다.[54] 며칠 후에는 네 번째 패널이 찢어져 더 많은 눈이 경기장으로 유입되었다.[28]

이 붕괴 사고로 인해 예정되었던 바이킹스와 자이언츠의 경기는 다음 날 디트로이트포드 필드에서 열리게 되었다.[26][27] 인근 미네소타 대학교의 TCF 뱅크 스타디움도 대체 장소로 고려되었으나, 좌석 수용 능력과 제설 문제로 무산되었다.[54] 이후 12월 20일에 예정되었던 바이킹스와 시카고 베어스의 경기도 TCF 뱅크 스타디움으로 옮겨져 치러졌다.[29]

지붕 붕괴는 골든 고퍼스 야구팀의 일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모든 빅 텐 컨퍼런스(Big Ten Conference) 홈 경기는 미네소타 트윈스의 홈 구장인 타겟 필드로 옮겨졌고, 메트로돔 토너먼트는 곤자가 대학교(Gonzaga University)와의 3경기 시리즈로 대체되었다. 데어리 퀸 클래식 토너먼트는 애리조나주 투손으로 이전되었으며, 많은 홈 경기가 취소되거나 다음 시즌으로 연기되었다.[30]

2011년 2월 10일, 메트로돔 지붕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예상 비용은 1800만달러이라는 발표가 나왔다.[31][32][33][34] 골든 고퍼스 야구팀은 2011년 빅 텐(Big Ten) 홈 경기를 타겟 필드에서, 비 컨퍼런스 경기를 캠퍼스 내 지버트 필드(Siebert Field)에서 치르기로 했다.[30] 지붕 교체 작업은 2011년 7월 13일에 완료되어 공기 주입이 재개되었고, 나머지 건설 및 수리 작업은 2011년 8월 1일까지 마무리되었다.[35]

메트로돔의 낮은 지붕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에도 영향을 미쳤다. MLB는 메트로돔에 대한 특별 규정을 두었다. 지붕이나 지붕에 매달린 물체에 맞은 타구는 계속 플레이 상태로 간주되어, 파울 지역에 떨어지면 파울 볼, 페어 지역에 떨어지면 페어 볼이 되었다. 페어 지역 상공의 지붕 구조물에 공이 걸리면 규칙상 2루타가 되었다. 이는 역사상 세 번 기록되었는데, 1984년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소속의 데이브 킹먼(Dave Kingman)[57], 미네소타 대학교의 조지 베어(George Behr), 그리고 2004년 코리 코스키(Corey Koskie)가 그 주인공이다. 특히 내야 파울 지역 상공의 스피커는 자주 타구에 맞아 수비에 어려움을 주었다. 2005 시즌부터는 파울 지역 스피커에 맞은 타구는 잡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파울 볼로 선언되도록 규정이 변경되었다. 또한 지붕의 색깔 때문에 야수들이 뜬공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58]

3. 3. 경기장



메트로돔은 미네소타 트윈스미네소타 바이킹스의 기존 홈구장이었던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일명 "더 메트")의 노후화와 미네소타 주의 기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115] 1970년대 초, 바이킹스는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의 미식축구 경기 수용 능력이 약 49,700명으로, AFL–NFL 합병 이후 NFL이 요구하는 최소 50,000명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확장도 불가능하다는 점에 불만을 가졌다. 또한, 경기장 시설 노후화 문제도 심각하여 1970년대에는 상단 데크의 난간과 좌석이 파손되는 등 안전 문제도 제기되었다. 돔구장 지지자들은 미네소타 트윈스 역시 시즌 후반의 추운 날씨를 피할 수 있는 실내 경기장에서 혜택을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디트로이트 인근 폰티악 실버돔과 같은 다른 돔구장의 성공 사례는 미니애폴리스 시내에 새로운 경기장을 건설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1960년 미니애폴리스 레이커스가 로스앤젤레스로 떠난 이후 처음으로 프로 팀을 미니애폴리스 시내로 유치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포츠 마케팅 환경 변화에 따라 팀들은 더 많은 편의 시설(고급 스위트룸, 매점 수입 증대 등)을 요구하며 새로운 시설 건립 압력을 가했다.

메트로돔은 본질적으로 미식축구 경기장으로 설계되었지만, 야구 경기도 가능하도록 전환될 수 있는 구조였다. 이 때문에 경기장 좌석 배치는 미식축구에 최적화된 거의 직사각형 형태였고, 야구장은 한쪽 구석에 자리 잡았다.[63] 일반적인 미식축구·야구 겸용 경기장과 달리, 사이드라인과 3루 파울 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했다. 야구 경기 시에는 우익수 쪽 좌석 일부가 수납되어 해당 방향 스탠드는 상당히 높게 위치했고, 필드도 좌익수 쪽에 비해 약간 좁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익수 펜스는 7m 높이로 설치되었다. 외야 크기는 비대칭적이었다.[64]

경기장 표면은 개장 초기에는 슈퍼터프(스포터프)였으나[59], 선수들은 표면이 너무 딱딱하고 탄성이 강하다는 불만을 제기했다. 빌리 마틴 감독은 타구가 비정상적으로 높이 튀는 것을 보고 항의하기도 했다.[22] 이후 1987년에는 애스트로터프로 교체되었고, 2004년에는 천연 잔디와 더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 필드터프가 설치되었다. 2010년 여름에는 Sportexe Momentum Turf로 다시 교체되었다.[60][61] 미식축구와 야구 경기 간 전환 시, 약 10432.62kg 무게에 지름 약 5.49m 크기의 투수 마운드는 전기 모터로 오르내리게 설계되었다.[8] 후기에는 경기장 수리로 슬라이딩 구덩이와 투수 마운드가 제거되어, 야구 경기 시 주자들은 인조 잔디 위에서 슬라이딩해야 했다. 홈 플레이트 구역은 미식축구 시에는 사용되지 않아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트윈스의 마지막 홈 경기 후 원래의 홈 플레이트는 파내어져 새로운 구장인 타겟 필드로 옮겨졌다. 2010년 12월 지붕 붕괴 사고 이후 2011년 여름에 새로운 경기장 표면이 설치되었다.

좌석 배치는 미식축구 관람에는 적합했지만, 야구 관람에는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좌익수 쪽 좌석에서는 중앙 및 우익수 쪽을 바라보게 되어 시야가 좋지 않았고, 필드 레벨까지 내려가는 좌석이 없었다.[22] 홈 플레이트와 덕아웃 사이 하단 데크(소위 "야구 구역")에는 약 8,000석만 배치되었는데,[63] 이 좌석들도 필드보다 최소 약 1.52m 높이에 있었다. 일부 좌석에서는 투수 마운드와 홈 플레이트 사이를 보기 위해 목을 빼야 했으며, 파울 폴 근처 좌석은 시야각이 80° 이상으로 매우 넓었다. 이 때문에 좌익수 라인 쪽 좌석은 인기가 낮았다. 약 1,400석은 우익수 쪽 상단 데크 구조물이나 지붕 지지용 강철 빔 때문에 부분적으로 시야가 가려졌다. 반면, 좁은 파울 지역과 "야구 구역" 좌석의 필드 근접성은 장점으로 꼽혔다. 2007년부터는 홈 플레이트 뒤쪽의 미식축구 전용 좌석 일부를 야구 경기 시에도 판매했다. 우익수 코너 좌석은 내야를 향하고 있어 시야가 좋은 편이었다.

메이저 리그 야구에서 메트로돔은 타자 친화적인 구장으로 여겨졌다. 낮은 좌익수 펜스(약 2.13m, 거리 약 104.55m)는 우타 파워 히터에게 유리했고, 높지만(약 7.01m) 더 가까운(약 99.67m) 우익수 펜스(배기, Baggie)는 좌타 파워 히터에게 유리했다.[49] 특히 1983년 에어컨 설치 전에는 공기가 건조하고 더워 홈런이 더 많이 나왔고, '스웨트 박스'라는 별명도 있었다.[50] 팬들 사이에서는 타구 비거리가 늘어난다는 인식 때문에 '더 홈 돔'(The Homerdome)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실제 홈런 파크 팩터는 2006년 기준 0.836으로 1 미만이었고, 안타, 2루타, 득점 파크 팩터 역시 1 미만으로 나타나 오히려 투수에게 유리한 구장이었다. 기후 조절 덕분에 트윈스 경기 일정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특이한 사례로, 타구가 경기장 천장에 맞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홈런성 타구가 천장에 맞고 떨어져 내야 플라이 아웃으로 처리되기도 했다. 1984년 5월 4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데이브 킹먼은 천장의 배수구 구멍 안으로 타구를 쳐 넣었고, 이는 특별 규칙에 따라 인타이틀 투 베이스(2루타)로 인정되었다. 이 공은 야구 명예의 전당 박물관에 기증되었다.[118] 관객 동원이 저조할 때는 외야 2층 좌석 대부분(203–212 구역)을 커튼으로 가려놓았으나, 포스트시즌이나 인기 팀과의 경기 시에는 개방하여 만원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다.

결국 미네소타 트윈스는 2009 시즌을 끝으로 메트로돔 사용을 종료하고 2010년부터 타겟 필드로 이전했다. 미네소타 바이킹스 역시 2013 시즌까지 사용한 뒤,[116] 2014년 1월 메트로돔은 철거되었다. 같은 부지에는 바이킹스의 새 홈구장인 US 뱅크 스타디움이 건설되어 2016년 7월 22일 개장했다.[117]

3. 4. 플렉시글라스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좌익수 벽에는 약 1.83m 높이의 투명한 플렉시글라스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벽의 전체 높이는 약 3.96m에 달했다.[8] 1991년 월드 시리즈 6차전에서, 미네소타 트윈스의 키비 퍽켓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론 갠트가 친 2루타성 타구를 플렉시글라스 벽 앞에서 뛰어올라 잡아냈다. 이 타구는 나중에 플렉시글라스가 제거된 후였다면 홈런이 될 수도 있었다. 퍽켓은 이 경기 11회말에 끝내기 홈런을 쳐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3. 5. 미네소타 바이킹스 (NFL)

미네소타 바이킹스는 이전 홈구장이었던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의 노후화와 미네소타의 추운 겨울 날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메트로돔을 1982년부터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15] 바이킹스의 메트로돔 첫 NFL 정규 시즌 경기는 1982년 9월 12일에 열렸으며, 탬파베이 버커니어스를 상대로 17-10 승리를 거두었다.[115]

메트로돔은 미식축구 경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설계되었다. 야구 경기 시에는 우익수 쪽 좌석 일부를 접어서 사용했으며, 이로 인해 우익수 쪽 필드가 좌익수 쪽보다 좁아지는 구조적 특징을 가졌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익수 펜스는 7m 높이로 설치되었다. 또한, 천으로 된 돔 지붕 구조는 소리가 경기장 내부에 울려 퍼지게 하여 NFL에서 가장 시끄러운 경기장 중 하나로 알려졌으며, 이는 바이킹스에게 상당한 홈 경기 이점을 제공했다.

1992년 1월 26일에는 슈퍼볼 XXVI가 메트로돔에서 개최되었다.[115]

2010년 12월에는 폭설로 인해 메트로돔의 지붕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12월 12일 예정되었던 뉴욕 자이언츠와의 홈 경기는 하루 연기되어 13일에 디트로이트포드 필드에서 열렸고,[119][120] 다음 주인 12월 20일 시카고 베어스와의 경기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TCF 뱅크 스타디움에서 치러졌다.[121]

시간이 지나면서 메트로돔 시설 노후화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고, 바이킹스는 새로운 구장 건설을 추진했다. 당초 아덴힐스의 슈퍼펀드 부지가 검토되었으나 인프라 개발 비용 문제로 무산되었고,[109] 미니애폴리스 내 여러 부지를 고려한 끝에 현재의 메트로돔 부지와 인접한 곳에 새 구장을 짓기로 결정했다.[110] 2012년 5월 10일, 미네소타주 의회는 새 바이킹스 경기장 건설 자금 지원 법안을 통과시켰다. 총 건설 비용 10.27억달러 중 바이킹스가 5.29억달러, 미네소타 주 정부가 3.48억달러, 미니애폴리스 시가 숙박세를 통해 1.5억달러를 분담하기로 했다.[111] 이 법안은 5월 14일 마크 데이턴 주지사의 서명으로 발효되었다.

바이킹스는 2013 시즌까지 메트로돔을 사용했으며,[1][116] 새 구장 건설 기간 동안에는 TCF 뱅크 스타디움을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112][113] 메트로돔은 2014년 1월에 철거되었고, 같은 자리에 U.S. 뱅크 스타디움이 건설되어 2016년 7월 22일에 개장했다.[117]

3. 5. 1. 슈퍼볼 XXVI

NFL 구단주들은 1989년 5월 24일 회의에서 슈퍼볼 XXVI 개최지로 미니애폴리스를 결정했다. 당시 경쟁 도시는 인디애나폴리스, 폰티액, 시애틀이었다.[77] 슈퍼볼 XXVI는 1992년 1월 26일에 열렸으며, 이는 추운 겨울 기후를 가진 도시에서 개최된 두 번째 슈퍼볼이었다. 첫 번째는 1982년 1월 24일 미시간주 폰티액에서 열린 슈퍼볼 XVI였다. 경기 결과, 워싱턴 레드스킨스버펄로 빌스를 37-24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6. 미네소타 트윈스 (MLB)

미네소타 트윈스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의 노후화와 미네소타의 기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메트로돔을 1982년부터 2009년까지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115] 개장 초기에는 모기나 날씨로부터 보호된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78]

메트로돔은 천으로 된 돔 지붕 구조 때문에 소리가 경기장 전체에 울려 퍼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가장 시끄러운 경기장 중 하나로 알려졌다. 이러한 소음은 흰색 지붕, 빠른 인조잔디, 그리고 'Baggie'라 불리는 높은 우익수 펜스(7m)와 함께 트윈스에게 상당한 홈 어드밴티지를 제공했다.[78] 특히 1987년 월드 시리즈1991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최고 소음 수준이 각각 125 dB과 118 dB까지 측정되었는데, 이는 제트 여객기 소음에 가깝고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수준이다.[45][78]

트윈스는 메트로돔에서 두 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1987년1991년 모두 홈에서 열린 4경기를 전부 승리하며 우승했다.[80] 특히 1991년 월드 시리즈는 역대 최고의 월드 시리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6][47][81][82][83] 이 시리즈 6차전에서 커비 퍼켓이 끝내기 홈런을 친 좌석(섹션 101, 5열, 27번 → 퍼켓의 등번호를 기려 34번으로 변경)의 파란색 등받이와 바닥은 현재 트윈스 기록 보관소에 금색 교체품과 함께 보관되어 있다. 트윈스는 이후 파란색 좌석을 다시 설치하고 퍼켓의 등번호 34번을 새겨두었으나, 2013년 마지막 바이킹스 경기 후 한 팬이 34번 판을 떼어갔다고 보도되었다.[48]

트윈스의 가장 유명한 선수 중 한 명인 커비 퍼켓을 기리기 위해, 메트로돔의 야구 경기 시 주소는 '''34 커비 퍼켓 플레이스'''(34 Kirby Puckett Placeeng)가 되었다.[8] 1996년, 미니애폴리스 시는 메트로돔 앞 시카고 애비뉴의 일부를 커비 퍼켓 플레이스로 공식 개명했다.[84] 이로 인해 메트로돔은 비공식적으로 "퍼켓이 지은 집"(The House That Puckett Builteng)으로 불리기도 했다.[85]

메트로돔은 야구와 미식축구를 겸용하는 구조 때문에 독특한 필드 형태를 가졌다. 미식축구 관람을 우선하여 스탠드가 직사각형으로 설계되었고, 야구 경기 시에는 우익수 쪽 좌석 일부를 수납해야 했다. 이 때문에 우익수 쪽 필드가 좌익수보다 좁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우익수 펜스를 7m 높이로 설치했다. 팬들 사이에서는 건조한 실내 공기 때문에 타구 비거리가 늘어난다는 인식으로 '더 홈 돔'(The Homerdomeeng)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지만, 실제 파크 팩터는 홈런(0.836, 2006년 ESPN 조사), 안타, 2루타, 득점 모두 1 미만으로 나타나 오히려 투수에게 유리한 구장이었다. 또한, 타구가 천장에 맞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으며, 1984년 5월 4일에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데이브 킹먼이 천장 배수구 구멍에 타구를 넣어 인타이틀 투 베이스로 인정된 특별한 사례도 있었다. 이 공은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기증되었다.[118] 관중 동원이 저조할 때는 외야 2층 좌석에 커버를 씌우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새로운 야구 전용 구장들이 건설되자, 메트로돔은 시설 노후화와 야구에 부적합한 구조 등으로 인해 메이저 리그 최악의 구장 중 하나로 평가받기 시작했다.[86][87][88] 트윈스 구단은 메트로돔에서 발생하는 수익(특히 럭셔리 스위트 임대 수익 부재, 적은 매점 판매 수익 배분)으로는 팀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재정 문제는 2001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구단 축소 논의 당시 트윈스가 몬트리올 엑스포스와 함께 대상 구단으로 거론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106] 트윈스는 새 구장 건설을 위해 2억달러 이상의 세금 지원을 요구했으며, 2003년부터는 매년 임대 계약을 갱신하며 이전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2005년에는 임대 계약 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 시즌 종료 후 메트로돔을 떠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결국 헤네핀 카운티가 새 구장 부지를 확보하고 2007년 양측이 최종 합의에 이르면서[107], 트윈스는 2010 시즌부터 새로운 홈구장인 타겟 필드로 이전하게 되었다.[104]

메트로돔에서 트윈스 경기가 연기된 것은 단 두 번이었다. 첫 번째는 1983년 4월 14일, 폭설로 인해 상대 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가 미니애폴리스로 오지 못했고, 같은 날 밤 폭설로 지붕 일부가 붕괴되기도 했다.[50] 두 번째는 2007년 8월 2일, 전날 발생한 I-35W 미시시피 강 다리 붕괴 사고 여파 때문이었다. 사고 직후인 8월 1일 경기는 예정대로 진행되었으나, 다음 날 경기는 구조 활동 지원을 위해 연기되었다. 트윈스는 해당 시즌 남은 기간 동안 백스톱에 추모 데칼을 부착했다.[89]

트윈스는 2009년 10월 4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를 끝으로 메트로돔에서의 정규 시즌 일정을 마쳤다. 하지만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에서 공동 1위를 기록하여 10월 6일 단판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고, 이 경기에서 12회 연장 끝에 6-5로 승리하며 메트로돔에서의 마지막 승리를 기록했다. 이 경기는 54,088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메트로돔 정규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트윈스의 메트로돔 마지막 경기는 2009년 10월 11일 열린 ALDS 3차전으로, 뉴욕 양키스에게 1-4로 패배하며 시리즈 전패로 탈락했다. 이로써 메트로돔은 아메리칸 리그 구장 중에서는 최초로 포스트시즌 경기를 마지막으로 역사를 마감한 구장이 되었다.

'''주요 일정 및 기록'''

날짜내용
1982년 4월 3일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시범 경기로 개장
1982년 4월 6일첫 MLB 정규 시즌 경기 개최 (시애틀 매리너스 11, 트윈스 7)
1983년 4월 14일폭설로 인한 지붕 손상으로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와의 경기 연기[50]
1985년 7월 16일MLB 올스타전 개최 (내셔널 리그 6, 아메리칸 리그 1)
1987년1987년 월드 시리즈 개최 (트윈스 우승)
1991년1991년 월드 시리즈 개최 (트윈스 우승)
1993년 9월 16일데이브 윈필드 3,000안타 달성
1995년 6월 30일에디 머레이 3,000안타 달성
2000년 4월 15일칼 립켄 주니어 3,000안타 달성
2007년 6월 28일프랭크 토마스 통산 500홈런 달성 (역대 21번째)
2007년 8월 2일I-35W 미시시피 강 다리 붕괴 사고 여파로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 연기[89]
2009년 10월 6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 우승 결정전 개최 (트윈스 6-5 승리, 12회 연장)
2009년 10월 11일뉴욕 양키스와의 ALDS 3차전 (양키스 4-1 승리), 트윈스의 메트로돔 마지막 경기


3. 7.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 (NCAA)

NCAA의 주요 행사인 남자 농구 토너먼트 파이널 포가 1992년과 2001년 두 차례 메트로돔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메트로돔은 여러 차례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의 지역 예선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메트로돔 NCAA 남자 농구 토너먼트 개최 연혁'''
연도대회 종류
1986년지역 예선
1989년지역 예선
1992년파이널 포
1996년지역 예선
2000년지역 예선
2001년파이널 포
2003년지역 예선
2006년지역 예선
2009년지역 예선



미네소타 대학교의 운동부인 미네소타 골든 고퍼스 역시 메트로돔을 홈 경기장으로 활용했다. 골든 고퍼스 풋볼팀은 1982년부터 2008년까지 메트로돔에서 홈 경기를 치렀으며,[90] 이후 캠퍼스 내에 신축된 TCF 뱅크 스타디움으로 이전했다. 골든 고퍼스 야구팀도 날씨가 추운 시즌 초반(2월, 3월) 경기를 1985년부터 메트로돔에서 치렀으며, 주요 토너먼트를 개최하기도 했다.[93][94]

메트로돔 사용 계약에 따라, 미네소타 트윈스는 경기 일정에서 골든 고퍼스보다 우선권을 가졌다. 만약 트윈스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홈 경기를 치르게 되면, 야구 경기가 우선시되었고 골든 고퍼스 미식축구 경기는 경기장 전환 시간을 고려하여 일정이 조정되어야 했다. 이로 인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즌 막바지인 9월에는 트윈스와 골든 고퍼스가 같은 날 메트로돔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런 날에는 트윈스 경기가 오전에 열리고, 경기장 전환 후 저녁에 골든 고퍼스 경기가 열리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미네소타 대학교는 오랫동안 프로 스포츠팀과 미식축구 경기장을 공유한 유일한 빅 텐 콘퍼런스 소속 학교였다.

3. 7. 1. 미식축구



메트로돔은 주로 미네소타 바이킹스를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바이킹스는 다른 팀들에 비해 경기장 사용에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문제를 겪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프로 스포츠의 경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바이킹스 구단주들은 더 많은 고급 관람석(럭셔리 스위트룸)과 개선된 편의 시설을 원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두 차례의 개조 계획이 제안되었으나 모두 거부되었으며, 2001년 당시 예상 비용은 2.69억달러에 달했다.[76]

바이킹스는 1982년 8월 21일, 시애틀 시호크스와의 프리시즌 경기를 통해 메트로돔에서 첫 경기를 치렀고, 이 경기에서 7-3으로 승리했다. 메트로돔에서의 첫 터치다운은 조 센서가 토미 크레이머로부터 받은 약 10.06m 패스를 통해 기록되었다. 첫 정규 시즌 경기는 1982년 9월 12일 개막전으로, 바이킹스가 탬파베이 버커니어스를 17-10으로 이겼다. 이 경기에서 리키 영이 2쿼터에 약 2.74m 러싱으로 돔에서의 첫 정규 시즌 터치다운을 성공시켰다. 바이킹스는 1983년 1월 9일 애틀랜타 팰컨스를 30-24로 꺾으며 메트로돔에서의 첫 플레이오프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1999년 1월 17일에 열린 NFC 챔피언십 경기에서는 팰컨스에게 패배했다. 바이킹스의 메트로돔 마지막 경기는 2013년 12월 29일 디트로이트 라이언스 전이었으며, 14-13으로 승리하며 돔에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미네소타 바이킹스 메트로돔 기록'''
구분
정규 시즌16288
플레이오프64
합계16892



바이킹스는 메트로돔에서 애리조나 카디널스(8승 0패), 볼티모어 레이븐스(1승 0패), 신시내티 벵갈스(4승 0패), 휴스턴 텍산스(1승 0패)를 상대로 전승을 기록했지만, 뉴욕 제츠에게는 3전 전패를 당했다.

NFL 구단주들은 1989년 5월 24일 회의를 통해 슈퍼볼 XXVI 개최지로 미니애폴리스를 선정했다. 당시 경쟁 도시는 인디애나폴리스, 폰티액, 시애틀이었다.[77] 1992년 1월 26일에 열린 이 경기는 추운 겨울 기후를 가진 도시에서 열린 두 번째 슈퍼볼이었다. 첫 번째는 1982년 1월 24일 미시간주 폰티액에서 열린 슈퍼볼 XVI였다. 슈퍼볼 XXVI에서는 워싱턴 레드스킨스가 버펄로 빌스를 37-24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미네소타 대학교의 골든 고퍼스 풋볼팀은 1982년 대학 풋볼 시즌부터 메트로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첫 경기는 1982년 9월 11일 오하이오 밥캣츠를 상대로 열렸으며, 57-3으로 대승을 거두었다.[90] 골든 고퍼스는 1982년부터 2008년까지 27시즌 동안 메트로돔에서 총 169경기를 치러 87승 80패 2무(승률 .521)를 기록했다. 빅 텐 콘퍼런스 경기에서는 109경기 동안 41승 66패 2무(승률 .385)의 성적을 거두었다.

골든 고퍼스가 메트로돔으로 이전했을 당시, NFL 수준의 실내 시설은 낡은 메모리얼 스타디움보다 개선된 환경으로 평가받아 초기에는 관중 수가 증가했다.[91] 하지만 팬들은 점차 캠퍼스 내 야외 경기장에서 가을날 경기를 즐기던 시절에 대한 향수를 느꼈고,[92] 학생들이 경기를 보기 위해 캠퍼스에서 경기장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과 팀의 부진한 성적이 맞물리면서 팬들의 관심은 점차 줄어들었다.[108]

결국 골든 고퍼스는 2009년 시즌부터 캠퍼스 내에 새로 지어진 TCF 뱅크 스타디움(현 헌팅턴 뱅크 스타디움)으로 홈구장을 옮겼다. 대학 측은 캠퍼스 내 경기장이 학생들의 참여를 늘리고, 풋볼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른 스포츠 종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새로운 경기장은 기존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몇 블록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으며, 명명권은 TCF 금융 주식회사가 구매했다. 미네소타 대학교는 경기장 건설 비용의 절반 이상을 기부를 통해 마련할 것으로 예상했다. 골든 고퍼스 스타디움 건설 법안은 2006년 5월 20일 주 의회를 통과했고, 5월 24일 당시 주지사였던 팀 폴렌티가 서명했다. 골든 고퍼스가 TCF 뱅크 스타디움으로 이전하면서, 파워 4 프로그램 중 실내 돔 경기장을 홈으로 사용하는 팀은 캠퍼스 내 캐리어 돔을 보유한 시라큐스만 남게 되었다.

3. 7. 2. 야구

미네소타 트윈스는 메트로돔에서 두 번의 월드 시리즈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트윈스는 1987년 월드 시리즈1991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는데, 두 시즌 모두 돔에서 열린 4경기를 전부 승리했다.[80] 큰 소음, 흰색 지붕, 빠른 인조 잔디, 그리고 '배기(Baggie)'라고 불리는 우익수 펜스는 트윈스에게 상당한 홈 필드 어드밴티지를 제공했다.[78] 특히 1991년 월드 시리즈는 역대 최고의 월드 시리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7][81][82][83]

트윈스 야구에서 메트로돔의 주소는 팀의 유명 선수 중 한 명인 커비 퍼켓을 기리기 위해 '''34 커비 퍼켓 플레이스'''(34 Kirby Puckett Place)가 되었다.[8] 1996년, 미니애폴리스 시는 메트로돔 앞 시카고 애비뉴(Chicago Avenue)의 일부를 커비 퍼켓 플레이스로 이름을 바꾸었다.[84] 메트로돔 플라자(Metrodome Plaza)는 1996 시즌 전에 커비 퍼켓 플레이스를 따라 추가되었다.[8] 이전 트윈스의 주소는 501 시카고 애비뉴 사우스(501 Chicago Avenue South)였다. 야구계에서 메트로돔은 비공식적으로 "퍼켓이 지은 집"(The House That Puck Built)이라고 불리기도 했다.[85]

하지만 2001년까지 여러 새로운 전용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구장들이 건설되면서, 메트로돔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최악의 경기장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86][87][88]

메트로돔에서 트윈스 경기가 연기된 것은 단 두 번뿐이었다. 첫 번째는 1983년 4월 14일, 큰 눈보라로 인해 캘리포니아 에인절스가 미니애폴리스로 이동하지 못했을 때였다. 하지만 그날 밤 폭설로 지붕 일부가 무너졌기 때문에 어차피 경기는 연기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50] 두 번째는 2007년 8월 2일, 메트로돔에서 몇 블록 떨어진 I-35W 미시시피 강 다리가 붕괴된 다음 날이었다. 8월 1일 예정되었던 경기는 다리 붕괴 약 1시간 후에 예정대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너무 많은 팬이 한꺼번에 경기장을 떠나 구조 활동에 방해가 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예정되었던 새 구장 타겟 필드의 기공식 역시 같은 이유로 연기되었다. 메트로돔은 2007 시즌 남은 기간 동안 백스톱 벽에 추모 데칼을 부착했다.[89]

트윈스는 2009년 10월 4일 메트로돔에서 마지막 정규 시즌 경기를 치렀고,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13-4로 이겼다. 경기 후 예정된 고별 행사가 열렸다. 그날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아메리칸 리그 중부 공동 1위를 기록했기 때문에, 두 팀 간의 단판 플레이오프가 2009년 10월 6일에 열렸다. 트윈스는 이 경기에서 12회 연장전 끝에 타이거스를 6-5로 꺾으며 메트로돔에서의 마지막 승리를 기록했다. 발표된 관중 수는 54,088명으로, 정규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메트로돔에서 열린 트윈스의 마지막 경기는 2009년 10월 11일 2009년 ALDS 3차전이었으며, 뉴욕 양키스에게 4-1로 패배하며 시리즈 스윕을 당했다. 이 시리즈 출전으로 메트로돔은 아메리칸 리그 구장 중 포스트시즌 경기로 역사를 마감한 최초의 구장이 되었다. 마지막 경기가 포스트시즌이었던 다른 구장들(애틀랜타의 풀턴 카운티 스타디움(1996년), 휴스턴애스트로돔(1999년), 세인트루이스부시 메모리얼 스타디움(2005년))은 모두 내셔널 리그 팀의 홈구장이었다. 트윈스가 떠나면서, 철거되지 않는 돔 구장에서 경기를 치르는 메이저 리그 팀은 탬파베이 레이스만 남게 되었다.

2010 시즌에는 미네소타 대학교 골든 고퍼(Golden Gophers) 야구팀이 모든 홈 경기를 메트로돔에서 치렀다(2010년 3월 27일 새 타겟 필드에서 열린 경기 제외).[93] 골든 고퍼 야구팀은 1985년부터 날씨 때문에 2월과 3월 경기를 메트로돔에서 치러왔다. 이후 경기는 주로 시버트 필드(Siebert Field)에서 열렸지만, 2006년에는 홈 경기 중 단 두 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가 메트로돔에서 열렸다. 이 팀은 종종 다이리 퀸 클래식(Dairy Queen Classic)과 같은 주요 토너먼트를 돔에서 개최했으며, 여기에는 다른 세 개의 주요 디비전 I 야구팀이 초청되었다. 대학 야구 시즌 시작에 관한 NCAA의 2008년 디비전 I 규칙 변경 이전에는, 골든 고퍼는 따뜻한 지역의 학교들이 일찍 시즌을 시작하는 이점을 상쇄하기 위해 종종 다른 지역 팀보다 일찍 메트로돔에서 홈 경기를 치르곤 했다. 일부 초기 빅 텐 컨퍼런스 경기가 메트로돔에서 열렸으며, 골든 고퍼는 날씨가 따뜻해져 캠퍼스에서 경기를 할 수 있기 전까지 시즌 초반 홈 필드 이점을 누렸다. 다른 소규모 대학들도 메트로돔이 디비전 I 경기를 위해 개방되기 전 몇 주 동안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다. 2010년에는 골든 고퍼의 홈 경기 대부분을 포함하여 420개의 아마추어 야구 및 소프트볼 경기가 메트로돔에서 열렸다.[94]

시버트 필드의 규모 또한 2010년부터 골든 고퍼에 영향을 미쳤다. 골든 고퍼는 2000년에 임시 좌석을 추가하여 마지막 NCAA 야구 토너먼트 지역 대회를 개최했다. 2010년부터 토너먼트에 메트로돔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팀은 NCAA 야구 지역 또는 슈퍼 지역 대회를 유치하기 위한 입찰을 더 쉽게 할 수 있었고, 유치 가능성도 높아졌다.

다른 추운 날씨 지역의 팀들도 메트로돔에서 경기를 치렀다. 빅 12 컨퍼런스 소속인 캔자스(Kansas)는 악천후로 인해 사우스다코타 주립 대학교와 이스턴 미시간(Eastern Michigan)을 상대로 각각 2007년과 2010년에 메트로돔에서 두 번의 시리즈를 치렀다.[95]

3. 8. 농구

NCAA 파이널 포는 1992년과 2001년에 메트로돔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1986년, 1989년, 1996년, 2000년, 2003년, 2006년, 2009년 NCAA 디비전 I 농구 선수권 대회의 4개 지역 경기장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파이널 포와 지역 경기 외에도 NCAA 농구 토너먼트의 1, 2라운드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될 때, 코트와 가까운 관람석의 팬들은 경기를 잘 볼 수 있었지만, 상층부 좌석에서는 시야 확보가 어려웠다. 또한 매점은 임시로 설치된 농구 시설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었다. 메트로돔은 농구 경기장으로서 대부분의 NBA 경기장이나 주요 대학 농구 경기장(약 20,000석 규모)보다 훨씬 컸으며, 이는 시라큐스 대학교의 캐리어 돔과 유사한 특징이다. NCAA는 남자 농구 토너먼트의 지역 및 챔피언십 경기를 위해 많은 좌석을 판매하여 상당한 수익을 올렸다.

메트로돔에서 열린 NCAA 토너먼트는 다음과 같다:

메트로돔에서 열린 NCAA 토너먼트
연도라운드/지역
1986년1, 2라운드
1989년미드웨스트 지역
1991년1, 2라운드
1992년파이널 포
1996년미드웨스트 지역
2000년1, 2라운드
2001년파이널 포
2003년미드웨스트 지역
2006년미니애폴리스 지역
2009년1, 2라운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는 타겟 센터가 완공될 때까지 창단 시즌인 1989–90 시즌 동안 메트로돔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이 시즌 동안 팀버울브스는 홈 41경기에서 총 1,072,572명의 관중을 동원하며 한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단일 경기 최다 관중은 1990년 4월 17일에 기록되었는데, 49,551명의 팬들이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덴버 너기츠에게 패하는 팀버울브스의 경기를 지켜보았다. 이는 당시 NBA 역사상 세 번째로 많은 관중 수였다.

3. 9. 축구

미네소타 킥스는 1982년 NASL 시즌을 위해 메트로돔으로 이전할 예정이었으나, 이 프랜차이즈는 1981년 11월에 해체되었다. 이후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가 돔에서 1984년 NASL 시즌 경기를 치렀다. 1984년 5월 28일에는 52,621명의 관중이 미네소타 스트라이커스와 탬파베이의 경기를 관람했으며, 이 경기에서 스트라이커스가 1-0으로 승리했다. MSHSL의 남자 및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도 이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미네소타 선더는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돔에서 일부 경기를 치렀다. 나중에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로 이름을 바꾼 미네소타 스타스 FC는 2012년 시즌을 이 경기장에서 시작했으며, 2013년 NASL 봄 시즌에도 이 경기장을 사용했다. 메트로돔의 축구 경기장 크기는 약 100.58m x 약 64.01m였다. 미네소타에서 열린 축구 경기 중 최다 관중 기록은 메트로돔에서 세워졌다.

3. 10. 기타 행사

메트로돔은 1985년 MLB 올스타전, 슈퍼볼(1992년), NCAA 파이널 포 (1992년 & 2001년), 그리고 월드 시리즈 (1987년 & 1991년)를 모두 개최한 유일한 경기장이었다.

NCAA 파이널 포는 1992년과 2001년에 메트로돔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1986년, 1989년, 1996년, 2000년, 2003년, 2006년, 2009년의 NCAA 디비전 I 농구 선수권 대회 4개 지역 경기장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NCAA 농구 토너먼트의 1, 2라운드 경기를 개최했다.

메트로돔은 천으로 된 돔 지붕 구조 때문에 소리가 경기장 전체에 효과적으로 울려 퍼져, 경기를 관람하기에 가장 시끄러운 경기장 중 하나로 알려졌다. 이러한 경기장의 소음은 홈팀에게 홈 경기 이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졌다. 메트로돔은 철거될 때까지 가장 시끄러운 돔형 NFL 경기장이었다. 특히 1987년 월드 시리즈1991년 월드 시리즈 동안 측정된 최고 데시벨은 각각 125와 118로, 이는 제트 여객기 소음에 가깝고 사람이 고통을 느끼기 시작하는 수준에 근접한 수치였다.[45][78]

1991년 월드 시리즈는 역대 최고의 월드 시리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6][47] 이 시리즈 6차전에서 커비 퍼켓이 끝내기 홈런을 친 공이 떨어진 좌석(섹션 101, 5열, 27번)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홈런 이후 퍼켓의 등번호를 기리기 위해 좌석 번호가 34번으로 변경되었고, 원래의 파란색 좌석 등받이와 바닥은 트윈스 구단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었다. 이후 금색으로 교체되었던 좌석은 다시 파란색으로 복원되었고, 2013년 메트로돔에서의 마지막 바이킹스 경기까지 커비 퍼켓의 #34번이 새겨진 채 유지되었다. 그러나 지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 팬이 이 #34번 판을 떼어갔다고 한다.[48] 원래 월드 시리즈 당시의 팔걸이와 하드웨어, 교체되었던 파란색 좌석 등받이와 바닥은 현재 미네소타에 있는 커비 퍼켓 개인 소장품의 일부로 남아 있다.

그 외에도 메트로돔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행사들이 열렸다.

  • NCCAA 전국 미식축구 선수권 대회인 빅토리 볼 경기 (2002년, 2008년)
  • 프렙 볼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리그(MSHSL) 주관 고등학교 미식축구 선수권 대회, 1982–2013)
  • MSHSL 미식축구 준결승전 (1990–2013)
  • MSHSL 축구 선수권 대회 및 준결승전 (1986–2013)
  • 봄 시즌 고등학교 및 소규모 대학 야구 경기
  • 오그스버그 대학교 주최 11월 소규모 대학 미식축구 경기 및 기타 대학 미식축구 행사 (노던 선 인터컬리지에이트 컨퍼런스, 어퍼 미드웨스트 육상 컨퍼런스 포함)
  • AMA 모토크로스 챔피언십 (1994–2004, 2008, 2013)
  • 스타디움 슈퍼 트럭 오프로드 레이싱 시리즈 (2013년 이벤트 계획)
  • 기타 모터스포츠 행사
  • 대규모 종교 행사 및 모임
  • 아메리카 레슬링 협회(AWA)의 레슬록 86 (1986년 4월 20일, 23,000명 관중 동원). 이는 AWA가 폐업하기 전 마지막 주요 행사 중 하나였다.
  • 경기장 통로를 활용한 '''롤러돔''' 인라인 스케이팅 및 미네소타 거리 달리기 협회 주관 달리기 행사
  • 트윈스 페스트, 골프 쇼, 홈 & 가든 박람회, 자동차 쇼 등 컨벤션
  • 흐몽족 새해 모임, 오로모족 질부 아메리카 게임 등 문화 축제
  • 유스 인 뮤직 밴드 챔피언십
  • 프로미스 키퍼스 (남성 기독교 예배)
  • 연례 흐몽족 아메리카 새해 축하 행사 (매년 12월 이틀간 개최)
  • 몬스터 잼
  • 1991년 세계 스페셜 올림픽 하계 대회 개막식

4. 명명권

메트로돔의 MoA 표지판


2009년, 몰 오브 아메리카는 메트로돔의 경기장 명명권을 구매했다. 계약에 따라 경기장은 2009년 10월 5일부터 2012년 2월 28일까지 3년 동안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의 몰 오브 아메리카 필드"로 불릴 예정이었다.[101] 이 이름은 2012년과 2013년 시즌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표지판 내용과는 달리, 몰 오브 아메리카(MoA) 이름은 경기장 필드에만 적용되었으며, 경기장 전체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건물 자체는 여전히 휴버트 H. 험프리 메트로돔으로 유지되었다. 몰 오브 아메리카와 메트로돔의 관계는 몰 오브 아메리카가 이전 메트로폴리탄 스타디움 부지에 건설되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쇼핑몰과 돔구장은 서로 약 약 16.09km 떨어져 있었다.

5. 대체 시설

시간이 지나면서, 메트로돔은 세 주요 입주자였던 트윈스, 바이킹스, 그리고 미네소타 대학교 골든 골퍼스 미식축구팀 모두에게 점점 더 적합하지 않은 시설로 평가받았다. 세 팀 모두 경기장이 수명을 다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주요 불만 사항 중 하나는 현대적인 기준에 비해 다소 좁게 느껴지는 콘코스(concourse, 내부 통로)였다. 이 때문에 관중이 만석에 가까울 때마다 혼잡한 상황이 발생했다.[102] 2010년 바이킹스 경기 중계 중 폭스 스포츠의 해설자 알렉스 마르베즈는 메트로돔의 통로가 너무 좁아 비상 상황 발생 시 팬들의 신속한 대피가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03]

결국 세 입주자 모두 메트로돔을 대체할 새로운 경기장 건설을 추진했고, 이는 모두 받아들여졌다. 가장 먼저 이전한 팀은 골퍼스로, 2009년 9월 새로운 TCF 뱅크 스타디움(현재의 헌팅턴 뱅크 스타디움)을 개장하며 메트로돔을 떠났다. 다음으로 트윈스가 2010년 시즌 개막에 맞춰 새로운 홈구장인 타겟 필드로 이전했다.

마지막까지 메트로돔을 사용했던 바이킹스 역시 새로운 구장 건설을 추진했다. 2012년 5월 10일, 미네소타 주의회는 기존 메트로돔 부지에 새로운 경기장을 건설하는 계획을 승인했으며, 마크 데이턴 당시 주지사는 5월 14일 이 법안에 최종 서명했다. 바이킹스는 2013 시즌을 마지막으로 메트로돔 사용을 종료했고,[116] 메트로돔은 2014년 1월 해체되었다. 바이킹스는 새 구장이 건설되는 동안인 2014년과 2015년 시즌에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TCF 뱅크 스타디움을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이후 메트로돔이 있던 자리에 건설된 U.S. 뱅크 스타디움은 2016년 7월 22일에 개장하여[117] 바이킹스의 새로운 홈구장이 되었다.

참조

[1] 뉴스 Detroit Lions https://www.freep.co[...] 2014-05-12
[2] 뉴스 Metrodome Demolition Reaches Completion Early https://minnesota.cb[...]
[3] 웹사이트 Mall of America Field at the H.H.H. Metrodome Information https://www.vikings.[...] Minnesota Vikings 2016-02-13
[4] 웹사이트 Metrodome History https://www.leg.stat[...] Minnesota Legislature 2016-02-13
[5] 웹사이트 Metrodome http://football.ball[...]
[6] 웹사이트 Metrodome https://www.ballpark[...]
[7] 웹사이트 About Metrodome https://www.msfc.com[...] Hubert H. Humphrey Metrodome 2006-11-04
[8] 웹사이트 Minnesota Ballpark History https://minnesota.tw[...] Major League Baseball
[9] 웹사이트 Metrodome Memories: The last hurrah... https://www.kare11.c[...] 2011-01-18
[10] 뉴스 Tokyo Dome Has Touch Of Home For Macphail https://www.chicagot[...] 2011-01-18
[11] 웹사이트 Amid Some Doubts, a Tokyo Dome https://www.nytimes.[...] 1988-03-23
[12] 웹사이트 MLB Park Factor http://sports.espn.g[...]
[13] 뉴스 Fans' Din Hits New Heights In The Thunderdome https://www.chicagot[...] 1987-10-09
[14] 뉴스 Homerdome? It's more like Loserdome now for Twins https://brainerddisp[...] 2000-05-13
[15] 뉴스 Tom Powers: On demolition day, Metrodome won't hold up to Met Center https://www.twinciti[...] 2014-05-12
[16] 웹사이트 Vikings work to deflate chance of melee today at Metrodome https://www.duluthne[...] 2013-12-29
[17] 웹사이트 New Vikings Stadium: Transition From Old To New https://www.vikings.[...] 2014-05-12
[18] 웹사이트 Cooloftheevening.com http://www.coolofthe[...] 2008-08-14
[19] 서적 Uncovering the Dome Waveland Press 1986-04
[20] 웹사이트 Minnesota Sports Facilities Commission – History http://www.msfc.com/[...] 2006-11-17
[21] 간행물 Google Doodle Honors Bangladeshi-American Engineer Fazlur Rahman Khan https://time.com/472[...] 2017-04-03
[22] 서적 Storied Stadiums https://archive.org/[...] Carroll & Company
[23] 웹사이트 The Vikings' Metrodome Collapsed Five Times Before They Finally Moved https://www.sportsca[...] 2020-12-14
[24] 웹사이트 Historical April Snowstorms http://climate.umn.e[...] Minnesota Climatology working group, University of Minnesota 2013-04-18
[25] 웹사이트 Minnesota Metrodome Caves In Under 17 Inches of Snow https://www.theatlan[...] 2020-12-14
[26] 웹사이트 Metrodome Collapses; NFL Reschedules Vikings - Giants Game https://abcnews.go.c[...] 2020-12-14
[27] 웹사이트 Metrodome unsafe, so Vikings-Giants game moved to Detroit https://www.nfl.com/[...] National Football League 2020-12-14
[28] 웹사이트 Candlestick, the Metrodome and the Worst Stadium Fails in NFL History https://bleacherrepo[...] 2021-02-05
[29] 웹사이트 Bears-Vikings still set for Minnesota https://www.espn.com[...] 2020-12-14
[30] 웹사이트 Gophers revise baseball schedule: Big Ten home games at Target Field https://www.startrib[...] 2021-03-25
[31] 웹사이트 Regular Meeting http://www.msfc.com/[...] 2010-12-13
[32] 문서 Crew coming to inspect fallen Dome roof http://www.startribu[...] Star Tribune 2010-12-13
[33] 뉴스 Metrodome Roof Collapse: Roof Maker Recommended Replacing It http://blog.seattlep[...] 2010-12-13
[34] 웹사이트 Metrodome roof repair could disrupt preseason schedule http://www.nfl.com/n[...] 2011-02-10
[35] 뉴스 Metrodome roof up again, nearly ready for Vikings https://sports.yahoo[...] 2011-07-13
[36] 뉴스 Vikings edge Lions in Metrodome finale https://www.espn.com[...] 2013-12-29
[37] 뉴스 After last game played, company begins removing Metrodome seats, putting them up for sale https://www.startrib[...] Star Tribune
[38] 뉴스 Metrodome to deflate for last time on Jan. 18 https://www.kare11.c[...] KARE 11 2014-01-16
[39] 웹사이트 It's history: Metrodome roof deflated in 35 minutes this morning https://www.startrib[...] Star Tribune 2014-01-18
[40] 웹사이트 Metrodome roof structure demolished with blasts https://kstp.com/new[...] 2014-02-04
[41] 뉴스 Explosion at Metrodome was just part of demolition process https://www.startrib[...] 2014-05-12
[42] 웹사이트 Metrodome Demolition on Hold During Investigation into Fallen Beam https://kstp.com/new[...] KSTP.com 2014-02-24
[43] 뉴스 Metrodome Ring Beam to be Demolished Sunday https://minnesota.cb[...] 2014-02-21
[44] 웹사이트 Metrodome Demolition Takes Down Concrete Ring https://kstp.com/new[...] KSTP.com 2014-02-24
[45] 뉴스 Twins `Overachiever' Kirby Puckett Gets Call to Glory, Baseball Digest, April 2001. Quote: "it was his play in Game 6 of the '91 Series against Atlanta that cemented his legacy in Twin Cities sports history. After robbing the Braves' Ron Gant of a home run in the field, Puckett hit an 11th-inning homer off Charlie Leibrandt to force a seventh game that the Twins eventually won in what some baseball historians consider the greatest World Series ever." Associated Press 1991-10-20
[46] 웹사이트 The World Series 100th Anniversary – #1 1991 Minnesota Twins 4, Atlanta Braves 3 https://www.espn.com[...] ESPN
[47] 문서 Murphy, Brian. Twins `Overachiever' Kirby Puckett Gets Call to Glory, Baseball Digest, April 2001. Quote: "it was his play in Game 6 of the '91 Series against Atlanta that cemented his legacy in Twin Cities sports history. After robbing the Braves' Ron Gant of a home run in the field, Puckett hit an 11th-inning homer off Charlie Leibrandt to force a seventh game that the Twins eventually won in what some baseball historians consider the greatest World Series ever."
[48] 웹사이트 Handful of seatbacks stolen from Metrodome following Vikings game http://bringmethenew[...] 2018-03-08
[49] 웹사이트 Major League Baseball ground rules http://mlb.mlb.com/m[...]
[50] 서적 Green Cathedrals https://archive.org/[...] Walker & Company
[51] 뉴스 Chicago architects designed Metrodome; New York firm responsible for fabric roof http://featuresblogs[...] 2010-12-12
[52] 뉴스 Dome disaster: Snow wrecks Vikings' home https://www.bloomber[...] Associated Press 2010-12-13
[53] 웹사이트 Fabric arena shaped by past domes http://www.columbia.[...] 2010-12-13
[54] 웹사이트 Can splice fix Dome's slices for Bears game? https://www.startrib[...] 2021-02-05
[55] 뉴스 Roof Falls In, Sending the Giants’ Game to Detro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2-12
[56] 뉴스 With Their Dome Deflated, the Vikings Still Need a Ho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2-14
[57] 문서 "Green Cathedrals, 1992 edition, p. 57"
[58] Youtube video clip https://www.youtube.[...] 2014-01-30
[59] 웹사이트 HHH Metrodome Information http://www.tickets4u[...] 2007-04-07
[60] 뉴스 Metrodome set to replace turf https://www.startrib[...] 2022-07-17
[61] 웹사이트 Court settles Metrodome turf war http://vikings.footb[...]
[62] 문서 Grumney, Raymond – [http://www.startribune.com/newsgraphics/142321875.html Graphic: Stadium development] 2012-05-07
[63] 웹사이트 Minnesota Twins team ownership history https://sabr.org/bio[...]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2017
[64] 서적 The Ultimate Baseball Road Trip Lyons Press
[65] 뉴스 Twins-Indians Suspended; Yankees Still Waiting for Playoff Opponent https://www.nytimes.[...] 2010-04-02
[66] 웹사이트 Cleveland Indians at Minnesota Twins Box Score, October 2, 2004 https://www.baseball[...]
[67] 웹사이트 Cleveland Indians at Minnesota Twins Box Score, October 3, 2004 https://www.baseball[...]
[68] 뉴스 Making Metrodome a Two-Sport Star, Fast https://www.nytimes.[...] 2010-04-02
[69] 뉴스 Playoff Site at Site https://news.google.[...] 1983-01-04
[70] 뉴스 Ranking NFL Stadiums https://news.google.[...] 1987-08-12
[71] 뉴스 Bevell's Sore, but Will Play http://nl.newsbank.c[...] 1983-10-19
[72] 뉴스 National Football Conference https://web.archive.[...] 1996-08-30
[73] 뉴스 Vikings' Hopes Dim for Sellout http://nl.newsbank.c[...] 1997-09-10
[74] 서적 Pay Dirt: The Business of Professional Team Sport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06-02
[75] 뉴스 Vikings Notes http://nl.newsbank.c[...] 2000-10-24
[76] 웹사이트 Taking a last look at fixing the Dome for the Vikings http://www.startribu[...] 2007-07-19
[77] 뉴스 What makes a city Super to NFL? http://www.seattlepi[...]
[78] 웹사이트 Metrodome --baseball's historic abomination ... to many http://www.cbssports[...] CBSsports.com 2012-03-07
[79] 웹사이트 Love Letters: Metrodome will be missed http://www.cbssports[...] CBS Sports 2012-10-15
[80] 뉴스 Farewell to Metrodome: Sweet and Sour Sorrow http://www.startribu[...] 2009-10-05
[81] 간행물 World Series 2011: The 5 Best Fall Classic Game 6's Ever http://bleacherrepor[...] Bleacher Report 2011-10-28
[82] 뉴스 The Top 10 World Series Games, Including (Of Course) 2011 Game 6 http://mlb.sbnation.[...] 2011-10-28
[83] 웹사이트 The World Series 100th Anniversary – No. 1 1991 Minnesota Twins 4, Atlanta Braves 3 https://www.espn.com[...]
[84] 웹사이트 Busy Twins offseason marked by a move across town http://www.kare11.co[...] 2009-10-20
[85] 웹사이트 Twins honor, celebrate Puckett's life. Fans, former teammates pay tribute to Minnesota legend https://web.archive.[...] 2022-05-07
[86] 웹사이트 List of Worst Ballparks reader response https://www.espn.com[...] 2001-05-03
[87] 뉴스 Nothing like a walk in the ballpark https://www.espn.com[...] 2003-09-10
[88] 뉴스 America's Best Baseball Stadiums https://www.forbes.c[...] 2009-04-14
[89] 뉴스 Twins back at it, with bridge on minds https://www.usatoday[...] 2007-08-03
[90] 문서 Minnesota Gopher Football Media Guide 2009 University of Minnesota Intercollegiate Athletics
[91]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nnesota Football media guide http://www.gopherspo[...]
[92] 서적 Big Ten country: a journey through one football season.
[93] 웹사이트 Baseball – 2010 Schedule http://www.gopherspo[...] 2009-12-29
[94] 뉴스 Winter Ball Never Sleeps or Shivers at Metrodome https://www.nytimes.[...] 2010-03-17
[95] 웹사이트 Freezing weather to move opening baseball game to Metrodome http://www.kansan.co[...] 2010-02-18
[96] 웹사이트 The Metrodome's musical history: A look back https://web.archive.[...] City Pages 2014-01-09
[97] 웹사이트 Brian Kidd's second-half goal lifted the Minnesota Strikers to... https://www.upi.com/[...]
[98] 웹사이트 2013 Official Stadium Super Trucks schedule https://web.archive.[...] Stadium Super Trucks 2013-04-19
[99] 웹사이트 AWA WrestleRock '86 at Metrodome wrestling results http://www.profightd[...] 2010-12-12
[100] 웹사이트 RollerDome Homepage http://www.roller-do[...] 2007-12-27
[101] 뉴스 Vikings: MOA buys naming rights to Metrodome field http://twincities.bi[...] 2009-10-01
[102] 뉴스 Deal would put new Vikings stadium near Metrodome http://www.kare11.co[...] 2012-03-01
[103] 뉴스 Vikings among teams facing major stadium issues http://msn.foxsports[...] 2012-06-19
[104] 웹사이트 Moving day an exciting time for Twins – Club employees settling in at new home within Target Field http://minnesota.twi[...] Major League Baseball (MLB.com) 2010-04-10
[105] 뉴스 'Awe-inspiring' Metrodome? It was when it opened 2010-04-02
[106] 웹사이트 Expos, Twins Seem Doomed https://www.latimes.[...] 2001-11-07
[107] 뉴스 Stadium land feud ends with cost stretching to $29 million http://www.startribu[...] 2007-10-15
[108] 문서 For Gophers, Metrodome went from blessing to curse http://www.startribu[...] Star Tribune 2008-12-31
[109] 웹사이트 Whatever happened to that Arden Hills Vikings stadium? http://minnesota.pub[...] 2020-11-06
[110] 웹사이트 Downtown East Stadium FAQs https://www.vikings.[...] 2012-05-10
[111] 웹사이트 New Stadium Q&A https://www.vikings.[...] 2015-06-17
[112] 웹사이트 Vikings Stadium: Retractable Roof in the Works, Says Lester Bagley https://minnesota.sb[...] 2012-07-11
[113] 뉴스 Vikings plan 2 seasons at TCF Bank Stadium https://www.startrib[...] 2013-02-15
[114] 문서 http://www.freep.com[...]
[115] 웹사이트 メトロドーム、初の公式戦開催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1-04-06
[116] 웹사이트 バイキングス、メトロドームでの最終戦で有終の美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3-12-30
[117] 웹사이트 バイキングス、14年から2シーズンはミネソタ大本拠地使用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3-02-16
[118] 뉴스 侍大谷消えた160m弾!東京D天井の隙間にズポッ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6-11-14
[119] 웹사이트 バイキングス対ジャイアンツ戦、猛吹雪で[[マンデーナイトフットボール]]に変更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0-12-12
[120] 웹사이트 バイキングス対ジャイアンツ、デトロイトで代替開催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0-12-13
[121] 웹사이트 除雪ボランティア動員、MNF開催へ一丸のミネソタ http://www.nfljapan.[...] NFL JAPAN 201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